본문 바로가기

Cardiology21

PFO (난원공 개존증, Patent Foramen Ovale) 난원공은 심방 사이의 구멍으로 태생기 이전에 폐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모체순환을 통해 혈액교환을 하던 통로이다. 난원공은 대부분 출생 후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자연히 막히지만, 25% 정도의 성인에게는 남아있다.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며,  대부분 선천성으로 발생한다.   난원공이 완전히 막히지 않고 우심방의 압력이 증가하면, 열려서 우좌단락이 발생한다.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혈전이 넘어가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위험 인자가 없는 뇌경색 환자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고려 된다.난원공이 작은 경우 일상생활에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난원공이 뇌졸중의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혈관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난원공을 막는 시술을 진행하고, 항응고제, 항혈소판.. 2024. 12. 10.
심신증후군 Cardiorenal syndrome 입원 환자에서 심장 및 신장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는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 일반적으로 단일기관(single organ) 이상에 비하여 이환 율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통일된 명명 및 진단, 분류법의 부재로 인해 심장 신장 동반이상의 역학이 잘 알려지지 않았음은 물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병인 기전의 이해 및 진단 치료법의 개발이 지연되어 왔다. 이에 acute dialysis quality initiative의 지원을 받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합의 회의를 거쳐 공식적으로 심장과 신장 동반이상 의 진단 및 분류법이 발표되었다.  일반적으로 심신증후군(cardiorenal syndrome)은 심장 이상에 의해 이차적으로 신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 2024. 11. 8.
관상동맥 CT 조영술 (coronary CT angiography, CCTA) 관상동맥 CT 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 이하 CCTA)은 일반적으로 관상동맥 질환의 존재를 발견하고, 내강의 협착을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CCTA는 비침습적이며, 침습적 혈관조영술에 비해 병원 체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CCTA의 정확도는 매우 높아, 민감도는 94%–100%, 특이도는 92%–95%에 이른다. CT 영상은 X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을 영상화하는 것이다. 박동하는 심장의 정지영상을 얻기 위하여는 심장의 움직임이 적은 시기에 CT 영상을 얻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장의 일정 주기에서 영상을 얻는다. 이러한 기법을 심전도 동조 CT라 한다. 이는 심전도를 추적하면서 심전도의 일정 부.. 2024. 7. 29.
DCMP - 확장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고혈압이나 판막질환과 같은 압력 혹은 용적 과부하가 없고, 수축 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정도의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좌심실 혹은 좌우심실의 확장과 수축 기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심장근육의 질환이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fined dilated cardiomyopathyas a condition in which the ventricular chambers exhibit increased diastolic and systolic volume and a low ( Dilated cardiomyopathy (DCM) is the most common type, occurring mostly i.. 2024. 6. 17.
ICD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형 제세동기는 환자의 심장 박동을 모니터링하다가 갑자기 돌연사를 초래할 수 있는 치명적인 심실성 빈맥이 환자의 심장에 발생하면 제세동 전극선을 통하여 전기충격을 주어 환자를 돌연사로부터 구하는 기계입니다. 이러한 삽입형 제세동기는 박동생성과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한 건전지, 전자 회로로 구성된 박동생성기와 전극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치료는 심장에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는 형태의 요법입니다. "전극선"으로 제세동기를 심장에 연결합니다. ■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박형섭. (2016). 빈맥질환의 최신 지견; 삽입형 제세동기 및 심장재동기화 치료. 심실세동 등에 의한 심정지가 있었거나 구조적인 심장질환에 동반된 심실빈맥이 있는.. 2024. 3. 11.
IABP - 대동맥내 풍선펌프 Intra-aortic balloon pump (IABP) IABP는 이완기에 하행 대동맥 내에 위치한 풍선을 확장시켜 관상동맥 혈류를 증가시키고 수축기에 풍선을 감압시켜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기전으로 좌심실을 보조한다. 또한 좌심실 충만압을 감소시켜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혈류역학적으로 IABP는 심박출량(cardiac output)을 약 0.5-1 L/min, 심구출률(stroke volume)을 약 20-30%가량 증가시킬 수 있다. IABP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근 손실, 급성 승모판 역류증 또는 심실중격 결손 등으로 인해 심부전이 발생할 경우에 삽입을 고려한다. 대부분 대퇴동맥을 천자해서 풍선을 삽입하는데 풍선의 끝(balloon tip)은 왼쪽 쇄골 하동맥(left subc..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