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diology21

Pericardial effusion, Cardiac Tamponade, PCC 심막은 매끄러운 장액성 주머니로 속 안에 약간의 분비액이 있어 심장이 마찰없이 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심막은 단단한 섬유성이므로 심장이 지나치게 커져서 심장 세포가 망가지거나 심장근육의 퇴행변화가 일어나는 일이 없도록 막아준다. 심낭 삼출 (Pericardial effusion) 심장을 싸고 있는 막인 심낭의 두 층 사이 심막강에 수분(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으로서 심한 경우 심막강 내 압력이 상승하여 심장압전을 일으키거나 만성적으로는 교약성 심낭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심낭 삼출은 원인을 모르는 일시적인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염증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결핵이나 악성 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그 외에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한 점액 부종, 전신성 홍반성 낭창(.. 2024. 1. 8.
SICMP - 스트레스 유발성 심근증 SICMP (Stress-indused cardiomyopathy, 스트레스 유발성 심근증) 1990년, 증상과 징후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매우 흡사 하면서 관상동맥에 유의미한 협착이나 연축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에 대한 첫 보고가 있었다. 이후 예기치 못한 감정적, 신체적 스트레스 상황을 겪은 후, 좌심실 심첨부에 운동장애가 발생하면서 심첨부가 풍선 모양으로 확장되는 특징적인 운동 장애 소견(apical ballooning)과 좌심실 기능저하가 발생하였다가 수주 내에 회복되는 질환군에 대한 보고가 이어져 왔고, 좌심실 심첨부의 운동장애로 나타나는 모양이 일본에서 문어를 잡을 때 쓰는 항아리와 비슷하다 하여 Takotsubo 심근병증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apical ballooning syndrome.. 2023. 12. 29.
ABI (발목상완지수, Ankle-Brachial Index) 말초동맥의 동맥경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발목상완지수는 임상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맥파전도속도와 함께 주로 대동맥 또는 하지 동맥경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준다. 말초혈관의 근위부에 폐색이 있으면 원위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말초혈관으로 갈수록 일반적으로는 혈관 저항의 증가로 혈압이 높아지는 것이 정상인데 오히려 원위부의 혈압이 감소될 경우 해당 부위 근위부의 협착 가능성이 있다. 발목상완지수는 발목 수축기 혈압을 팔 수축기 혈압으로 단순히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발목상완지수 측정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약 5분간 안정을 취한 다음 발목 동맥중에서 발등동맥이나 뒤정강동맥을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고, 팔동맥은 일반적인 위치인 상완동맥 압력을 이용한다. 오른쪽과 왼.. 2023. 12. 4.
PDA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출생 전에는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하고, 출생 직후에는 닫혀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관이 출생 후 자가 호흡과 폐순환을 시작했음에도 닫히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열려 있는 상태이다.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병의 5~1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기형이다. 청진에서 심장 혈액의 와류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심음(심잡음)을 청취하고, 심전도를 찍어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성을 관찰하며, 심장의 기능과 구조적 평가를 위한 심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동맥관 개존증을 확진한다. PDA classification Type A (conical), with defined aortic ampulla and constriction near the PA end. Type B (window), with short lengt.. 2023. 11. 5.
ASD (심방중격결손,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결손은 좌우 심방 사이의 막에 결손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폐혈류량이 증가한다. 흉부 X-ray 검사상 심장이 커져 있고, 폐 음영이 증가한 상태가 확인된다. 심전도 검사상 심장 축이 우측 편위를 보이고, 우심실이 비대되어 있다. 심초음파 검사상 결손의 위치와 이와 동반된 심장 기형을 확인할 수 있다. 우심방, 우심실, 폐동맥이 확장되어 있다. 결손 부위가 크고,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결손을 수술하지 않으면 폐동맥 압력이 높아지는 폐동맥 고혈압이 생길 수 있다. 심하면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비가역적으로 고정되는 .. 2023. 11. 5.
[심초음파] PSAX - AVL, MVL, PML, APL 심초음파 필수검사항목 1. 흉골연 장축단면도 (PLAX, parasternal long axis view) 2. 흉골연 단축단면도 (PSAX, parasternal short axis view) 3. 심첨부 단면도 (Apical view) 4. 늑골하 단면도 (SC, Subcostal view) 탐촉자를 PLAX view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rotation 하여 관찰할 수 있다. 탐촉자의 Index marker가 환자의 왼쪽 어깨를 향한다. Four imaging planes are described for the parasternal short axis. 1. PSAX - AVL ("Mercedes Benz" view) 2. PSAX - MVL ("Fish mouth" view) 3. PSA..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