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diology

PFO (난원공 개존증, Patent Foramen Ovale)

by yunjikim 2024. 12. 10.

난원공은 심방 사이의 구멍으로 태생기 이전에 폐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모체순환을 통해 혈액교환을 하던 통로이다.

난원공은 대부분 출생 후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자연히 막히지만, 25% 정도의 성인에게는 남아있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며,  대부분 선천성으로 발생한다.  

 

난원공이 완전히 막히지 않고 우심방의 압력이 증가하면, 열려서 우좌단락이 발생한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혈전이 넘어가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위험 인자가 없는 뇌경색 환자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고려 된다.

난원공이 작은 경우 일상생활에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난원공이 뇌졸중의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혈관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난원공을 막는 시술을 진행하고,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Amlplatzer PFO occluder를 이용한 시술 과정 (N Engl J Med 2017;377:1006-100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피적 심방중격결손폐쇄술 및 사용하는 치료재료(Amplatzer Septal Occluder System 등)의 인정기준)
가. 심방중격결손     
(1) 적응증    
 1) 이차공 심방중격결손(Secundum ASD)으로서 아래 요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체폐혈류비(Qp/Qs ratio)가 1.5 이상     ②우심의 용적 과부하(Right Heart Volume Overload)시    
     ③ 심방중격결손에 의한 제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2) 1)항에 해당되지 않으나, 이차공 심방중격결손이 원인이 되어 전신 색전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난원공 개존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경우     

(2) 금기증    
① 불가역적 폐혈관 폐색성 병변이 있는 경우 (Eisenmenger 증후군)     
② 심방중격결손 외에 동시에 수술이 필요한 구조적 병변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③ 감염성 심내막염을 초래할 수 있는 전신적 세균감염이 있는 경우     
④ 방실판막 쪽의 중격연이 결핍된 경우 (<5mm)     
⑤ 결손부위가 매우 큰 경우 (>40mm)     

나. 난원공 개존 : 아래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인정함.     
① 우-좌 단락에 의한 전신 색전을 야기할 수 있는 심장내 병변(cardioembolic source)이 확인되고,     
② 기타 기저질환 등 전신 색전의 다른 원인이 없으며     
③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 TIA) 등의 전신 색전이 발생한 경우     
- 단, 일과성허혈발작 등과 같은 minor stroke의 경우 최소한 2회 이상의 반복적 발작이 있어야 함.     

다. 심방중격이나 심방과 인접 구조 사이의 개통성에 기인하는 비정상적 단락에 의해
     청색증, 상당한 전신 색전의 위험 등의 위해가 존재하는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 인정함.     
① 기능적 단심실의 고식술(폰탄술) 후 잔존하는 개창부 폐쇄의 경우     
② 간이식이 필요한 환자에서 심방중격의 개통성이 확인되는 경우 (고시 제2010-18호, ’10.2.1. 시행) 

 

난원공 개존증은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TE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로 확진할 수 있다.

난원공 개존증은 대부분 심전도,  X-ray 상으로 정상 소견을 보인다.

Most commonly, apical four-chamber view is used, also parasternal short-axis view at the level of the atrial septum (aortic valve level) or a subcostal four-chamber view may b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