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diology

활동혈압 측정

by yunjikim 2025. 5. 6.

 

활동혈압 측정(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은 진료실 밖에서 혈압을 측정하며, 24시간에 걸쳐 여러 번 반복적으로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진료실혈압과 다르게 주간활동혈압, 야간혈압, 아침혈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혈압의 일중 변화와 혈압 변동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보통 검증된 진동법 자동혈압계를 사용하여 24시간에 걸쳐 주간에는 15~30분, 야간에는 30~60분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하며, 분석을 위해 주간에는 최소 20회, 야간에는 최소 7회 이상, 예상 측정 횟수의 최소 70% 이상의 혈압 측정이 필요하다.

 

활동혈압을 측정할 때는 측정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여야 하며, 일상적인 활동과 야간 수면을 유지하고, 과격한 운동은 피하며 혈압 측정 시 자세(특히 팔) 유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환자에게 설명서를 배부하고, 일기 작성을 교육한다.

 

활동혈압 측정의 주요 적응증은 고혈압을 진단하고,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이 의심될 때, 혈압 패턴을 보고자 할 때(주간고혈압, 야간고혈압, 아침고혈압, dipping 상태 등), 혈압변동성을 보고자 할 때, 고혈압 약의 효과를 평가할 때(백의효과
또는 조절되지 않는 가면고혈압 등), 심혈관 위험도 평가를 위해 정확한 혈압 측정이 요구될 때 도움이 된다.

 

고혈압의 진단 기준은 24시간 평균혈압 ≥130/80 mmHg, 주간평균혈압 ≥135/85 mmHg, 야간평균혈압 ≥120/70 mmHg(진료실혈압 기준 ≥140/90mmHg 의미)이다. 혈압은 주간에 높고 수면 중에는 낮아지는데, 정상적으로 야간혈압은 주간혈압에 비해 10~20% 낮다(dipper). 하지만 이런 dipping 상태는 재현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간혈압이 10% 미만 감소하는 경우(non-dipper)에는 정상적인 혈압 감소를 보이는 dipper형 고혈압보다 좌심실비대, 심근허혈과 사망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야간혈압이 주간혈압에 비해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reverse dipper)에는 자율신경이상과 연관성이 있으며, 출혈성 뇌졸중과 사망 같은 심혈관 사건의 위험이 더 높다.

야간혈압이 20% 이상 심하게 감소하는 경우(extreme dipper)에는 허혈성 뇌졸중과 동맥경화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또한 아침에 혈압이 상승(morning surge)하는 것은 심뇌혈관질환 특히 뇌졸중 발생의 위험인자로 보고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재현성, 치료법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2022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