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12

[혈액검사] Renal Function Profile 신장은 길이 약 12 cm, 무게 약 150 g으로 척추 양쪽, 복강 뒤에 하나씩 있으며, 바깥 부분인 신장겉질(피질, cortex)과 안쪽 부분인 신장속질(수질, medulla)로 이루어져 있다. 신장은 대동맥 가지인 신장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고, 모세혈관 뭉치인 사구체로 혈액이 흐른다. 사구체(Glomerulus)는 모두 신장겉질에 있다.신장의 기능- 체내 수분, 전해질과 무기질의 균형 유지- 혈압 조절: 레닌을 분비하여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통해 혈압을 조절- 체내 노폐물 제거: 사구체에서 혈액을 여과- 체내 항상성 유지: 세뇨관에서 체내 필요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분비-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 촉진: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생성- 건강한 뼈 성장, 유지: 비활성 비타민D를 활성형으.. 2024. 12. 16.
[혈액검사] 혈당 관련 검사 (2023 당뇨병 진료지침) 당뇨병 선별검사는 공복혈장포도당, 당화혈색소, 또는 경구포도당내성검사로 한다.공복혈당: 100 mg/dl 미만 당화혈색소: 5.7% 미만경구 당부하 검사 후 2시간 혈당: 140 ㎎/dl 미만 선별검사의 검체 당뇨병 진단을 위한 검체는 정맥에서 채혈한 혈장을 이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포도당 농도는 채혈하는 혈액 의 종류, 즉 정맥혈, 동맥혈, 또는 모세혈관혈에 따라 다르고, 금식 여부와 식사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 만 대체로 동맥혈이 가장 높고 모세혈관혈, 정맥혈 순으로 낮아진다. 이른 아침 공복 시 동맥과 정맥의 혈당 차이는 10 mg/dL 전후이지만, 식후에는 20-50 mg/dL까지도 날 수 있다. 또한 검체의 종류, 즉 전혈, 혈장 그리고 혈청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혈장의 포도당.. 2024. 11. 4.
[혈액검사] 지단백 검사 (Lipid profile) - Lipid panel, Lipoprotein profile, Cholesterol test- 관상동맥심장질환의 위험도를 확인하기 위해 함께 시행되는 검사들의 묶음이다. - 혈관폐색이나 혈관경화 등으로 심장마비나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들로 알려져 있다.- 결과에 따라 식단조절 및 운동 등의 생활방식의 변화 또는 스타틴 계열의 지질감소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 - 검사항목: Triglycerides(TG),  Total cholesterol(TC),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  채혈 전 12시간 금식 (물 섭취 가능)  Triglycerides     (TG, 중성지방)바람직: 150 mg/dL (1.70 mmol/L) 미만경계성: 150.. 2024. 9. 5.
[혈액검사] 혈액 응고 관련 검사 정상적인 지혈을 위해서는 혈액응고인자 및 혈소판의 수와 기능이 충분해야 하고, 혈관의 구조에도 이상이 없어야 한다. 혈액응고과정에 관여하는 혈관, 혈소판, 혈액응고인자 및 섬유소용해 과정 중 하나라도 문제가 있으면 출혈질환이 생길 수 있다. 출혈질환이 의심되면 혈관, 혈소판, 혈액응고인자 중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스피린(aspirin), 헤파린(heparin), 와파린(warfarin) 등과 같이 혈소판과 응고인자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약물 복용 시, 검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아스피린의 경우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출혈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헤파린 사용 시에는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이, 와파린 복용 시에는 프로트롬빈 시간이 정상적으로 연장된다.      .. 2024. 8. 7.
혈액응고 기전 혈관이 외상이나 질환에 의하여 손상을 받아 출혈이 생기면, 출혈을 멈추기 위하여혈관수축과 1차 지혈과정인 혈소판의 부착 및 응집에 의한 혈소판마개(platelet plug)가 형성됨과 동시에 2차 지혈과정인 응고인자들의 활성화를 통하여 섬유소 (fibrin)가 만들어지고지혈마개(hemostatic plug)가 형성되어 완전한 지혈이 이루어진다. 궁극적으로는 prothrombin이 thrombin으로 또한 thrombin으로 인하여 fibrinogen이 fibrin으로 최종 변환되어야 지혈이 된다. 1차 지혈과정과 2차 지혈과정은 별개의 과정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다. 1차 지혈과정인 혈소판 활성화가 혈액응고를 가속화시키고, 2차 지혈과정의 산물인 thrombin이 혈소판 활성화를 유도한다. 손상이 회.. 2024. 7. 4.
[혈액검사] CBC (전혈구검사, Complete Blood Count) 혈액 속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를 분석하는 일반 혈액검사목적: 혈구 세포들의 수와 분포가 적당한지 확인하고 비정상 혈구들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다.검체: 주로 정맥혈액을 이용하여 검사하고 예외적으로 피부를 찔러서 나오는 모세관 혈액을 이용하기도 한다.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항응고제가 포함된 채혈관에 채혈검사에 사용되는 혈액은 응고되면 혈구 수는 물론 혈구 관련 기타 검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EDTA 항응고제가 포함된 채혈관에 혈액을 채취한 후 응고되지 않도록 완전히 섞은 후 이용한다.- 채혈량: 3ml- 혼합횟수: 8~10회- EDTA가 다른 혈액검사 Tube에 혼입되면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의한다.  검사 항목WBC 백..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