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pid panel, Lipoprotein profile, Cholesterol test
- 관상동맥심장질환의 위험도를 확인하기 위해 함께 시행되는 검사들의 묶음이다.
- 혈관폐색이나 혈관경화 등으로 심장마비나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들로 알려져 있다.
- 결과에 따라 식단조절 및 운동 등의 생활방식의 변화 또는 스타틴 계열의 지질감소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
- 검사항목: Triglycerides(TG), Total cholesterol(TC),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 채혈 전 12시간 금식 (물 섭취 가능)
Triglycerides (TG, 중성지방) |
|
|
Total cholesterol (TC, 총콜레스테롤) |
|
● 합성대사스테로이드, 베타차단제, 에피네프린, 경구피임약, 비타민 D는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일 수 있다. ● 100mg/dL 미만의 낮은 콜레스테롤은 영양실조, 간질환, 암 같은 질환의 경우 발생할 수 있다. |
HDL cholesterol (HDL 콜레스테롤) |
|
● 급성 질환, 심장발작, 스트레스 상황에 일시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노출된 후 6주 정도 뒤에 측정하는 것이 비교적 정확하다. ● 임신시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출산 후 6주 정도 뒤에 시행하는 것이 비교적 정확하다. |
LDL cholesterol (LDL 콜레스테롤) |
|
● 목표 LDL-C 값
|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a person's first cholesterol screening should occur between the ages of 9 and 11 and then be repeated every five years after that.
The NHLBI recommends that cholesterol screenings occur every 1 to 2 years for men ages 45 to 65 and for women ages 55 to 65. People over 65 should receive cholesterol tests annually.
More-frequent testing might be needed if your initial test results were abnormal or if you already have coronary artery disease, you're taking cholesterol-lowering medications or you're at higher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because you:
- Have a family history of high cholesterol or heart attacks
- Are overweight
- Are physically inactive
- Have diabetes
- Eat an unhealthy diet
- Smoke cigarettes
People undergoing treatment for high cholesterol require regular cholesterol testing to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their treatments.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검사] Renal Function Profile (1) | 2024.12.16 |
---|---|
[혈액검사] 혈당 관련 검사 (2023 당뇨병 진료지침) (1) | 2024.11.04 |
[혈액검사] 혈액 응고 관련 검사 (0) | 2024.08.07 |
혈액응고 기전 (0) | 2024.07.04 |
[혈액검사] CBC (전혈구검사, Complete Blood Count)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