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DR] IVC Filter insertion DVT ☞ 혈전이동 (IVC → SVC→ RA→ RV→ PA) ☞ PE (pulmonary embolism) ▶ 하대정맥필터 설치를 통하여 폐색전증 예방 폐색전증 예방을 위한 하대정맥 필터 설치의 적응증 1. 절대적 적응증 - 뇌출혈이나 활동성 장출혈과 같은 항응고제 사용의 절대적 금기증에 해당하는 경우 - 항응고제 치료에 실패한 경우 - 항응고제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는 경우 2. 상대적 적응증 - 혈전의 범위가 크거나 점점 커지는 경우 - 항응고제 단독 치료만으로는 폐색전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 심폐기능이 저하된 환자 - 폐색전증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 3. 예방적 적응증 - 심부정맥 혈전증이나 폐색전증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외상이나 큰 수술을 앞둔 환자 - 장기간 움직임이.. 2023. 12. 18.
[ NS ] Thrombectomy 경피적 혈전 제거술 대동맥의 급성 폐색에 의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 due to large vessel occlusion; 이하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폐색된 혈관의 재개통(recanalization)은 환자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3). 2014년까지 치료 효과가 입증된 유일한 치료는 정맥 내 혈전용해제(intravenous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이하 IV-tPA)의 투여였다. 그러나 IV-tPA 치료는 증상 발생 후 4.5시간 이내 환자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두개내 대동맥의 폐색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었다(4). 위와 같은 이유로, 두개내 막힌 동맥 부위까지 .. 2023. 12. 12.
[신경계 사정] LOC, GCS, Motor grade 의식은 각성수준(Alertness)과 인식(Awareness)으로 구분되며, 이 둘이 모두 정상적일 때 정상 의식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 각성수준 Alertness = 깨어있는 상태 (자극에 반응이 있나) - 인식 Awareness =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지각 (반응의 내용이 적절한가) 의식수준 (LOC, Level Of Consciousness) - 통증 자극을 줄 때에는 조직 손상의 위험이 적은 흉골, 안와 윗부분, 손발톱 밑부분 등을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 - 충분한 힘으로 압박하지 않으면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한 번에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 1. Alert 각성 - 자극 없이도 스스로 눈을 뜨고 깨어 있다. 2. Drowsy 기면 - 가벼운 자극(이름 부르기, 어깨 두드리기).. 2023. 12. 5.
[DR] 흉강천자 Thoracentesis / 흉수 Pleural effusion 흉수(pleural effusion) 란 흉막강 내 정상 이상으로 고인 액체를 말한다.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뜻한다. 여기에는 정상적으로 소량(5~10mL, 0.1~0.2mL/Kg)의 흉수가 존재하며, 생리적으로 호흡 운동 시 폐 확장을 촉진하는 한편, 폐와 흉벽을 연결함으로써 폐의 팽창을 유지하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흉수는 벽측 흉막에서 만들어지며 모세혈관의 정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및 림프관으로의 배출 등을 통해 일정한 양이 유지된다. 이러한 생성-흡수의 기전에 변화가 초래되면 과도한 양의 흉수가 발생하게 되며 흉수는 그 발생 기전에 따라 크게 여출성(transudates)과 삼출성.. 2023. 12. 4.
ABI (발목상완지수, Ankle-Brachial Index) 말초동맥의 동맥경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발목상완지수는 임상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맥파전도속도와 함께 주로 대동맥 또는 하지 동맥경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준다. 말초혈관의 근위부에 폐색이 있으면 원위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말초혈관으로 갈수록 일반적으로는 혈관 저항의 증가로 혈압이 높아지는 것이 정상인데 오히려 원위부의 혈압이 감소될 경우 해당 부위 근위부의 협착 가능성이 있다. 발목상완지수는 발목 수축기 혈압을 팔 수축기 혈압으로 단순히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발목상완지수 측정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약 5분간 안정을 취한 다음 발목 동맥중에서 발등동맥이나 뒤정강동맥을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고, 팔동맥은 일반적인 위치인 상완동맥 압력을 이용한다. 오른쪽과 왼.. 2023. 12. 4.
PDA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출생 전에는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하고, 출생 직후에는 닫혀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관이 출생 후 자가 호흡과 폐순환을 시작했음에도 닫히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열려 있는 상태이다.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병의 5~1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기형이다. 청진에서 심장 혈액의 와류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심음(심잡음)을 청취하고, 심전도를 찍어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성을 관찰하며, 심장의 기능과 구조적 평가를 위한 심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동맥관 개존증을 확진한다. PDA classification Type A (conical), with defined aortic ampulla and constriction near the PA end. Type B (window), with short lengt.. 2023.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