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스텐트는 좁아진 심장혈관 병변에 풍선과 함께 확장하여 혈관을 넓힘으로써 내경을 유지하여 혈류가 잘 통하게 한다.
스텐트는 약물이 도포되지 않은 BMS (Bare Metal Stent)와 약물이 도포된 DES (Drug Eluting Stent)로 나뉜다.
1. BMS (Bare metal stent, 금속 그물망)
- 장점 : 혈관이 풍선확장술 이후 다시 좁은 상태로 돌아가는 recoil 현상(스텐트 쭈그러짐 현상)을 예방
- 한계 : ISR 발생 (혈관 손상 이후 Stent 내 신생내막 과증식으로 인한 혈관 내경 감소)
2. DES (Drug eluting stent, 약물 방출 스텐트)
DES 코팅 약물 종류로는 면역억제제(-limus), 항암제(paclitaxel)가 있으며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1) 1세대 DES
- 장점 : 재협착에 의한 재시술 감소
- 한계 : 1년 이후 발생하는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 증가
- 종류 : Cypher(Sirolimus), Taxus(Paclitaxel)
2) 2세대 DES
- 장점 : 강도가 크고, 스트럿이 얇아지고, -limus 계통의 항증식약물을 사용하며, 생체적합성이 개선된 폴리머를 사용
- 한계 : 혈관의 염증발현, Late event 증가, 혈관 본연이 움직임 억제
- 종류 : Xience(Zotarolimus), Endeavor(Everolimus)
1, 2세대 DES의 문제점
1, 2세대 약물 방출 스텐트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약물이 모두 방출되고 나서도 Polymer가 스텐트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데, Polymer는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과 혈전을 일으킬 수 있다. Polymer가 스텐트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아서 약물 농도가 달라지는 문제점도 있고, 스텐트가 펴짐에 따라 Polymer가 균열을 일으켜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Polymer로 인해서 만성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기도 하고, 그 결과 내피 세포의 재생에 지장을 주어 스텐트 내에 혈전이 생기는 문제점 등이 대두되었다.
3) 3세대 DES : 생체분해성 Polymer를 이용한 약물 방출 스텐트
- 특징 : 시술 후 6-9개월째 융해되는 생융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biolimus 방출 스텐트 (Polymer 재료 : Poly-lactic acid)
- 종류. : Biomatrix, Nobori, Orsiro
- 새로운 약물 : Biolimus A9 (sirolimus나 everolimus에 비해 지용성이 높아 혈관 내피세포 내로 더 잘 침투해 들어갈 수 있음)
- Biomatrix : 혈관 벽에 접촉되는 면에만 polymer가 도포되어 있어 약물이 혈관벽쪽으로만 방출되도록 고안됨
(사용되는 polymer 양을 줄일 수 있고, 향후 시술부위에서 내피세포가 안정적으로 빨리 회복되는데 도움)
4) Non-polymeric DES : 코팅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는 약물 방출 스텐트
- 코팅 고분자로 인한 염증을 줄이기 위하여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 스텐트 자체에 약물만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
- 종류 : Biosensors 사의 BioFreedom
5) 생체 흡수형 스캐폴드 (Bioresorbable vascular scaffold; BVS, BRS)
- 특징 : 금속 구조물 없이 생체에 흡수되는 polymer만으로 넓히는 힘을 유지하며, 3년 뒤에는 모두 흡수되어 없어짐
- 단점 : 큰 강도를 얻기 위해 polymer strut 두께가 두꺼워져서 procedure 적용에 까다로움
- 종류 : Abbott Vascular 사의 Abosorb
- 현재는 Instent thrombosis rate 상승과 관련된 문제가 야기되면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3. DEB (Drug-Eluting Balloon)
- 일반 풍선에 Paclitaxel을 3㎍/㎟ 농도로 입힌 것으로, 풍선하는 동안 증식 억제제를 풍선에서 혈관 벽으로 이동하게 한다.
- DES처럼 장기적으로 약물을 유리할 필요 없이 약물에 노출된 세포에 6일 정도만 약물이 존재하며, 장기간 내막증식을 억제한다.
- 장점 : 스텐트와 달리 병변 부위 혈관에 고르게 약물이 전달된다.
'Cath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A] Carotid artery (0) | 2023.11.02 |
---|---|
[PTA] Lower extremity arteries Intervention (0) | 2023.11.01 |
FFR (Fractional flow reserve, 심근 분획 혈류 예비력) (0) | 2023.06.13 |
PCD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 (0) | 2023.04.25 |
EVAR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