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비물품 : (6F 10cm sheath, 6F 45cm Fortress sheath), Terumo wire 260cm, Auto injector setting
- Antegrade puncture 시 Micro puncture set 사용
+ 상황에 따라 필요한 물품 다름
■ Approach : 병변이 Puncture site에서 가까울수록 시술이 용이하다.
① Retrograde puncture : 혈류의 반대 방향으로 하는 puncture 방법 (다리쪽에서 머리쪽으로 puncture)
② Ipsilateral retrograde puncture : 병변이 위치하는 혈관에 혈류 반대 방향으로 puncture (p-SFA 위쪽 병변)
③ Ipsilateral anterograde puncture : 병변이 위치하는 혈관에 혈류 방향으로 puncture (p-SFA 아래쪽 병변)
④ Contralateral Anterograde approach (Cross-over technique) : 반대쪽 혈관을 puncture 하여 반대쪽으로 approach
- EIA 아래부터 Common femoral artery 사이에 있는 병변에 접근하는 경우
- Ansel sheath를 사용하여 contralateral antegrade approach
- 시술 부위의 반대쪽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distal aortic bifurcation(좌우 iliac artery 시작부위) 경유한다.
⑤ Brachial approach : Aorta의 distal부터 양쪽 Iliac artery 기시부가 완전 폐색된 경우 고려
1. Iliac-femoral artery PTA
- L4에서 Common iliac artery로 분지
- External iliac artery와 Internal iliac artery 로 나뉨
- External iliac artery에서 Inguinal ligament 기준으로 CFA(Common femoral artery)로 이어짐
- SFA(Superficial femoral artery)와 Deep femoral artery로 나뉨
2. Femoral-Popliteal artery
- Popliteal artery : Adductor canal부터 ATA(Anterior posterior tibial artery)가 분지될 때까지
- Patella(슬개골) 기준으로 3개 분절(P1~P3)로 구분
3. BTK (below the knee) PTA
- CLI(critical limb ischemia)에 의한 허혈성 통증, 조직의 괴사 절단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의 말초혈관 환자에게 시행
'Cath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sion complication (0) | 2023.02.20 |
---|---|
시술 병변의 특성 Lesion description (0) | 2023.02.20 |
분지부병변의 PCI 접근 (0) | 2023.02.14 |
View of angiography (0) | 2023.02.13 |
허혈성 심질환 약물치료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