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후 향상을 위한 치료: Aspirin, Betablocker, ACE inhibitor
2.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Ca channel bolcker, Nitrate, K channel opener
● Plaque rupture → thrombus 형성 (혈전 구성요소: platelet, thrombin, fibrin)
Antiplatelet Tx 혈소판 응집 감소
1) Aspirin: 혈소판의 cyclooxygenase(COX)-1 비가역적 제한, thromboxane A2(TXA2) 합성 억제로 혈소판 활성화 감소
2) Clopidogrel: 혈소판의 P2Y12 receptors 비가역적 blocking, ADP에 의한 혈소판 응집 제한, 2번의 대사과정 거침 (12hr)
3) Prasugrel: P2Y12에 선택적, 비가역적 결합, 1번의 대사과정(4~5hr, 상품명 Effient, 출혈 위험성: 75세 이상 or 60kg 미만 금기)
4) Ticagrelor: P2Y12에 대사과정을 통한 활성화 필요 없이 직접적, 가역적으로 결합 (2hr, 상품명 Brillinta)
Beta blocker 교감신경의 베타수용체 차단으로 심근 수축력과 심장 박동수 감소 (심근 산소 수요 감소)
교감신경 수용체에는 알파(α)와 베타(β) 두 가지 수용체가 있다.
α1-receptor: 혈관수축, 방광 괄약근 수축을 유발
α2-receptor: 혈관이완
β1-receptor: 심장 박동수와 심장 수축력 증가, 신장의 레닌(renin, 혈압상승물질) 분비 증가
β2-receptor: 혈관 평활근, 기관지, 장관 및 자궁 이완, 지방분해, 글리코겐(glycogen) 분해, 인슐린 분비 촉진
■ 1세대 베타차단제 = 비선택적 베타차단제(non-selective β-blockers): 베타-1, 2 수용체 전부 차단
ex)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인데놀®), 카르테올롤(carteolol, 미케란®), 소탈롤(sotalol, 소타론®), 나돌롤(nadolol, 나도가드®)
■ 2세대 베타차단제 = 심장선택성 베타차단제(cardioselective β-blockers): 베타-1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
ex) 아테놀롤(atenolol, 테놀민®), 비소프롤롤(bisoprolol, 콩코르®), 에스몰롤(esmolol,브레비블록®), 네비보롤(nebivolol,
네비레트®), 셀리프롤롤(celiprolol, 셀렉톨®), 메토프롤롤(metoprolol, 베타록®), 베탁솔롤(betaxolol, 켈론®)
■ 3세대 베타차단제 = 혈관확장성 베타차단제(non-selective β-blockers with vasodilation)
: 혈관의 수축에 관여하는 알파-1 수용체도 함께 억제하여 혈관을 확장하면서 (혈압강하 효과)
베타-1 수용체뿐만 아니라 베타-2 수용체도 함께 차단하는 비선택성 베타차단제 (기관지 수축 - asthma, COPD 주의)
ex) 라베탈롤(labetalol, 라베신®), 아로티놀올(arotinolol, 알말®), 카르베딜롤(carvedilol, 딜라트렌®)
ACE inhibitor
심박수, 빔박출량, 심근수축력의 변화 없이 혈압을 떨어뜨리고, 동정맥을 모두 고르게 확장시키므로
전부하와 후부하를 모두 감소시켜 심근의 부담을 덜어준다.
ex) Captopril(Capril), Cilazapril(Inhibace), Enalapril(Enaprin), Lisinopril(Zestril), Ramipril(Tritace, Ramiprin)
* Angiotensin II : 부신에서 알도스테론 분비 촉진, 뇌하수체 후엽에서 항이뇨호르몬 분비 촉진 → Na+, 수분 재흡수 → BP ↑
ARBs (angiotensin II 수용체 차단제)
angiotensin II 작용을 ACE inhibitor 보다 더 완벽하게 차단하며, bradykinin에 의한 기침 유발과 같은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ex) Losartan(Cozaar), Valsartan(Diovan), Telmisartan(Micardis)
Nitrate 혈관확장제 : 혈압↓ (투여 전후 BP check)
- 정맥확장에 의한 전부하 감소 (★RV infarction 시 금기★: 500ml~2L 수액요법 우선 고려)
- 관상동맥확장
■ Nitroglyverin (NTG)
- 설하정 0.6mg/T : 흉통이 시작되고 매 5분 간격으로 3회까지 투여 가능
- 스프레이 12.2ml/btl : 흉통이 시작되고 30초 간격으로 1회(0.4mg/회) 분사, 3회까지 가능
- 니트로링구알주10mg/10ml/amp : IV bolus 또는 NS/DW에 희석하여 IV dropping
■ Isosorbide Dinitrate 이소켓 0.1% 10mg/3mL
'Cath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지부병변의 PCI 접근 (0) | 2023.02.14 |
---|---|
View of angiography (0) | 2023.02.13 |
CAG/PCI 검사 전 간호 (0) | 2023.02.06 |
CTO 정의, TIMI flow grade (0) | 2023.02.01 |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 (0) | 2023.01.28 |